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보석계의 타임머신 호박

몽꺄도살롱 2023. 5. 25. 10:53
반응형

 
인류가 사용한 가장 오래된 보석 호박(Amber)
 
기원전의 소나무 송진 화석이
지금은 보석으로 쓰이고 있다는 것은
참 재미난 일입니다.
 
영화 '주라기 공원'은 호박이라는 보석을
유명해지게 만들었는데요.
호박의 내포물을 들여다보고 있노라면, 
그 오래전, 지구가 어땠는지 호기심이 발동되곤 합니다.
 
호박은 우리나라 말로는 먹는 호박과 같고,
어릴 적 할머니, 할아버지의 한복에 달려 있는 단추로써
많이 봐와서 그런지,
보석이라는 느낌이 반감이 되기도 하는데요.
 
로마시대에는 건강한 노예보다도 가치 있게 여겨졌고,
향수 대용으로 사용되기도 할 정도로
인기가 있는 보석입니다.
 
또한 호박은 보석으로써도 인기가 있지만,
약용으로도 많이 쓰이는데요.
간질이나 중풍을 막기 위해 사용된
민간요법도 전해지고 있고,
후두염을 예방하기 위해 목걸이로
만들어서 사용하기도 했다고 하죠.
최근 약리학에서 밝혀진 임상효과에서는
호흡기질환이나 아토피, 천식, 집중력, 정서의 안정, 
각종 감염 예방, 이가 나는 유아의 치통 등에도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이런 호박을 보석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니
일석이조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호박의 색깔

호박은 크게 투명한 것과
불투명한 것으로 나누어지는데,
투명한 것은 금패(Clear Amber),
불투명한 것은 밀화(Cloudy Amber)
라고 합니다.
 
투명한 금패는 코냑색, 갈색, 붉은색,
보라색, 청색, 오렌지색,
드물게는 흑색도 존재하며, 
청색은 귀해서 다른 색깔보다 가치가 높게 평가됩니다.
 
불투명한 밀화는 은은하고 밝은 노란색으로 동양에서 
훨씬 더 사랑을 많이 받고 있고,
한복 같은 전통의상에도
많이 활용됩니다.
 

 

호박의 가치

호박의 가치는 색상, 내포물, 크기가 기준이 되는데, 
투명도가 높고 색이 맑은 것이 가치가 높습니다.
호박에서 내포물은 다른 보석들의 내포물과는
조금 다르게 취급되는데요.
내포물의 종류와 상태에 따라서 가치가 정해집니다.
곤충이나 동물, 꽃 등이 온전한 상태로 호박 안에 
보존되어 있다면, 가치가 크게 상승합니다.
유기 보석인만큼 과거에 살아있던 생명체들이 
큰 부피로, 형태가 잘 보존되어 있는 게 
귀하게 여겨질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호박은 귀걸이 같이 얼굴 주변에 하는 주얼리보다는,
내포물을 잘 살려 돋보이게 하는,
브로치나 펜던트, 반지 같은 것으로
가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호박의 성질

호박은 풍화되어 딱딱한 외피를 벗기면
비단 같은 부드러운 질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천연 호박이 플라스틱과 외관상으로
매우 유사해 보이기 때문에,
플라스틱의 모조 호박과 구별하기가 쉽지 않은데요.
 
천연 호박은 포화염수(소금이 더 이상 녹지 않을 정도로
소금이 녹아 있는 물)에서 떠오릅니다. 
소금물보다 밀도가 아주 약간 더 크기 때문에,
바다에서도 큰 덩어리도 떠다니며
멀리 운반될 수 있습니다.
호박이 바닷가에서 많이 발견되는 이유이기도 하지요.
 
또한 뜨거운 바늘로도
천연과 합성을 구별할 수도 있는데요.
뜨거운 바늘로 찔러봤을 때, 
천연호박은 향을 내며 연기가 나고,
플라스틱은 녹으면서 생기는 검은 자국이 생깁니다.
 

호박의 보관법

호박은 비중이 매우 낮은 천연 보석으로, 
큰 크기도 무겁지 않아 가볍게 착용하기 좋지만,
경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착용 후에는 부드러운 천으로 닦아서 보관해야 합니다.
오염이 되었을 때에는 올리브유 등을 묻힌 천으로
깨끗이 닦아 주는 것이 좋습니다.
 

호박의 모조석

위에서 언급했듯이,
호박은 부드러운 재질인데, 
천연수지 중 하나인
코펄 수지(동아프리카에서 나오는 고대의 화석 수지)가
호박과 같은 가치로 둔갑해 팔리기도 합니다.
 
또 다른 모조석으로는 앰브로이드라는 것이 있는데,
천연 호박의 조각들을 높은 열에서 녹여,
다시 압축해서 만드는 인조 호박입니다.
천연 호박 보다 더 단단하기도 하며,
주로 뿌연 색깔을 띱니다.
 
 
 
 
호박은 우리나라에서는 주얼리로써
아주 인기가 있는 보석은 아니지만,
서양에서는 역사적으로 높이 평가가 되어 온
가장 초기 형태의 보석이며,
현재까지도 보석으로써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반응형